티스토리 뷰

반응형

🛒 “가성비의 왕자” 다이소, 불황 속 홀로 질주… 연 매출 4조 돌파!

 

다이소
다이소

 

여러분, 오늘은 다이소 소식을 가져왔는데요. 

여러분도 다이소 자주 가시나요? 저는 정말 자주 갑니다. 또 집근처에 매장이 여러개나 돼서 접근성이 좋아 자주 가게 됩니다. 

손톱깎이, 숟가락, 물티슈 등등 주로 생활 용품들을 사는데요. 저와 같은 분들이 많은가 봅니다. 

다이소 소식 알아볼게요! 


📉 소비 위축 속 유통업계 한파… 그러나 다이소는 예외

장기화되는 고물가와 경기 침체로 인해 소비심리가 얼어붙고 있습니다.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기존 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줄줄이 타격을 받는 가운데, 생활용품점 다이소는 지난해 약 4조 원의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유통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올랐습니다.


📊 두 자릿수 성장률, 영업이익도 급등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다이소 운영사인 아성다이소는 2023년 매출 3조 9,689억 원, 영업이익 3,712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4.7% 및 41.8% 상승한 수치입니다.

  • 매출총이익률: 37.9%
  • 판관비율: 28.5% (전년 29.5% 대비 개선)

다이소 성장률
다이소 성장률

 

즉, 고정비를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구조로 가성비 강자다운 수익 모델을 입증한 셈입니다.


🧃 카테고리 확장 + 점포 전략이 ‘성공 열쇠’

다이소는 기존의 생활잡화 중심에서 패션, 뷰티, 건강기능식품 등 고마진 품목으로 확장 중입니다. 현재 다이소에 입점한 제약사는 총 5곳에 달하며, 동국제약, 종근당건강, 안국약품 등이 건강식품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1,500개 이상 매장을 중심으로 대형‧직영점 출점 전략을 유지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 온라인몰도 급성장… 앱 사용자 수 89% 증가

다이소앱
다이소앱

다이소의 온라인 확장도 주목할 만합니다. 다이소몰 앱은 2024년 3월 기준 사용자 수 405만 명, 전년 대비 89% 증가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이 주춤하는 사이, 다이소는 ‘가격+품질 안정성’이라는 틈새를 공략하며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 외국인 인기 쇼핑 스팟, ‘코리아 다이소’

최근 다이소는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성지로 떠오르며 글로벌 성장세도 보이고 있습니다.

  • 2022년 해외 카드 매출: 전년 대비 300% 증가
  • 2023년: 130% 증가
  • 2024년: 50% 증가
    특히 화장품 매출은 144% 증가하며 뷰티 카테고리의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 유통업계에 던지는 질문: ‘가성비’가 새로운 기준이 될까?

전통 유통 채널이 주춤하는 사이, 다이소는 초저가와 상품 다양성으로 시장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LS증권은 “가격 파괴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자연스러운 바이럴 효과까지 얻고 있다”며,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유통업계 과제: “이젠 가격·품질·서비스 모두 잡아야 산다”

다이소의 질주는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제품 기획, 소싱 능력, 물류 강화까지 아우르는 유통 역량 덕분입니다.
전문가들은 “대형마트와 편의점도 상품 구성과 가격 전략을 재정비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온라인 역시 다이소와 차별화를 꾀하지 않으면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정리하면…

짝짝짝 대단한 다이소
2023년 매출 약 4조 원 (14.7% 증가)
영업이익 3,712억 원 (41.8% 증가)
성장 비결 가성비, 대형점 출점, 온라인몰 확대
주력 카테고리 생활용품 → 뷰티, 건강기능식품, 의류 등 확장
외국인 인기 화장품 매출 144% 증가, 해외 카드 매출 급증
업계 영향 전통 유통업체 구조 전환 압박 가중
반응형